고금리 여파로 은행 대출 연체율이 빠른 속도로 상승세를 그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4월 5대 시중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은 평균 0.304%로 어김없이 전달보다 0.032%p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을 의미하는 고정이하여신 비율도 야금야금 올라가는 추세입니다. <br /> <br />금리가 높은 대신 문턱이 낮은 2금융권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. <br /> <br />올해 1분기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5.1%로 2016년 이후 7년 만에 5%를 웃돌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은행권의 자산 건전성 지표는 연일 악화하고 있는 데 대해 금융당국은 지금의 금융권 전체 위기를 초래할 정도는 아니라고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은행들이 앞서 충당금을 미리 적립해왔고, 연체율 역시 과거와 비교했을 때 우려할 만한 수준이 아니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이창용 / 한국은행 총재 (지난 22일) : 지금 연체율 수준이 과거 평균보다 아직 낮은 수준이고 이것이 금융위기라든지 아니면 역사적인 여러 가지 금융기관의 자본이라든지 이런 것을 볼 때 위기라고까지 하기는 어려운 수준입니다.] <br /> <br />문제는 지금의 연체율 상승세가 하반기 더 뚜렷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 기간 많은 대출을 받아온 자영업자의 경우 그동안 상환 능력이 나빠진 데다 대출의 담보 자산 가치도 떨어졌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오는 9월 원리금 상환 유예 종료까지 앞두고 돈을 갚지 못하는 취약 차주가 급증할 것이라는 분석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[김창수 / 자영업자 : 담보가 없어져서 그런지 원금까지 같이 갚아야 하니까 피부에는 아직도 매월 돈을 빌리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 때문에 각 은행은 하반기 연체율 관리를 위한 충당금 추가 적립이나 연체채권 처리 등을 통한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[A 은행 : 일시적 자금 부족을 겪는 기업이나 상환 유예 차주에 대해서는 선제적으로 추가충당금을 적립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고, 차주들의 연착륙을 위해 종합적인 신용 위험 점검을 통해….] <br /> <br />[B 은행 : 연체 진입 방지를 위한 연체예정 채권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연체채권 상각과 매각 등을 통해 건전성 관리를 지속해 나갈 계획입니다.] <br /> <br />금융당국은 은행권에 경기 대응 완충 자본을 적립하도록 해 대출 부실화에 대비하도록 하는 동시에 충당금 적립 현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YTN 엄윤주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0612133123546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